본문 바로가기

정보

집단지성

다수의 개체들이 서로 협력하거나 경쟁을 통하여 얻게 된 지적 능력의 결과로 얻어진 집단적 능력을 일컫는 용어. 여러 개체간의 협력과 경쟁을 통해 가지괴되는 집단의 지적능력을 말하며 이개념은 개미의 공동체협업을 연구한 미국의 곤충학자 월리엄모턴 휠러가 1910년 처음 제시하였다,
 집단지성은 인간뿐만아니라 여러 생태동식물까지도 적용되상이 되기도 한다. 집단지성의 대표적 사례는 인터넷을 통한 Wikipedia와 웹 2.0 그리고 최근에 자주보이는 스마트폰의 식당평가 앱등이 대표적이다. 생산자나 수혜자가 따로 없이 누구나 생산하고 누구나 공유하면서도 계속 발전하는 모습을 통해 집단지성의 형태를 보여준다.

평가하기가 없으면? 집단지성이라하기 어렵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을 표현하는 단어  (0) 2012.04.14
베블렌효과(Beblen effect)  (0) 2011.09.09